Search In this Thesis
   Search In this Thesis  
العنوان
한국.이집트 신문의 비판적 담화 대조 연구
탄핵 국면에 대한 양국의 대표 신문을
중심으로 /
المؤلف
أحمد، مى أبو بكر الصديق محمد.
هيئة الاعداد
باحث / مى أبو بكر الصديق محمد أحمد
مشرف / جونج يونج ان
مشرف / منال جمال
مناقش / جونج يونج ان
تاريخ النشر
2019.
عدد الصفحات
202ص. :
اللغة
الكورية
الدرجة
ماجستير
التخصص
اللغة واللسانيات
تاريخ الإجازة
1/1/2019
مكان الإجازة
اتحاد مكتبات الجامعات المصرية - اللغة الكورية
الفهرس
Only 14 pages are availabe for public view

from 202

from 202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로 쓰인 한국 신문과 이집트의 아랍어로 쓰여진 신문에
실린 탄핵 시위와 관련하여 권력과 사회적 사상의 방향에 영향을 받은 이데올로기
시각의 변화를 찾는 것이다. 이 논문의 데이터는 2016 년 10 월부터 2017 년 3 월까지
조선 일보 신문과 2013 년 2 월부터 7 월까지의 알-아흐람 신문에서 실린 보도 기사에서
뽑았다.
권력과 사회적 성향 변화는 기사에 반영된 신문의 이데올로기와 관점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되었다. 이 연구는 비판적 담화 분석을 사용하여 그 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비판적 담화 분석은 언어가 강력한 어느 한 측과 연결된 특정 이데올로기적
주제를 전달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Van Dijk (Van Dijk)는 비판적
담화 분석이 ‘특정 사회의 권력이 특정 문제나 사회적 사건을 보여주는 담화에 영향을
미치는 바에 집중을 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하였다. 뉴스 텍스트는 사회적 사건을
전달하며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영향의 결과물이 된다.
본 연구는 두 신문 기사 텍스트가 담은 이데올로기 분석을 타동성 (Transitivity)
통해 이루었다. 그리고 두 신문 모두 국가 분열의 이미지와 시위가 한 때에 물리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갈등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문장 구조 분석을
통해서 탄핵 인용의 무렵으로 사회와 문화의 변화가 기사의 이데올로기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또한 ”우리”의 긍정적인 표현과 ”타인”의 부정적인 표현을 주장하는
’이데올로기 정사각형 (Van Dijk 1998)’ 전략을 사용했다. Van Dijk 의 전략을 수행하는
의미적인 타동적 과정과 어휘 선택을 분석함으로써 조선 일보는 대통령 탄핵 소추안
인용이 다가가는 대로 권력의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탄핵
반대자들에게 주어진 긍정적인 이미지가 부정적인 이미지로 바뀌는 것과, 동시에 탄핵
VIII
찬성자에 대한 긍정적인 강력한 이미지가 강화된 바에서 밝혀진다. 그렇지만 그 변화는
대통령 반대자와 외국 언론의 인용문을 실어주는 것을 통해 대통령과 그의 지지자들의
부정적 혐오감을 강조한 알-아흐람에서 보이는 만큼 분명하지 않았다. 알-아흐람은
더해서 반대자들에게 여러 가지 명시와 그의 인간화를 시켜 주기를 통해 이데올로기
변화를 더욱 지적하였다. 이 연구는 두 신문의 이데올로기 변화의 모습 차이의 원인으로
이집트 군대가 대통령 반대자와 합류한다는 것이 있다. 그러므로 대통령 반대자.지지자
양측 중에서 반대자가 가장 강력한 힘이 되는 측으로 만들어서 상대적인 권력 변화를
일으켰다. 한변 한국에서 그와 같은 상황이 없었기 때문에 차이가 나타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조선 일보와 알-아흐람 신문의 한국과 이집트에서 일어난
탄핵 시위에 대한 이데올로기와 관념 변화를 반영한 신문 기사를 분석하였다. 그것은
3 장에서 거시적 구조.미시적 구조 분석을, 4 장에서 Van Leuuwn 의 참여자 반영 분석을
통하여 연구해 본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두 신문 모두 권력의 변화대로
이데올로기적 표현의 변화를 보였으며, 그 변화는 변화된 권력의 강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고 본다.